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62)
    • 【시황분석】 장이 어떻게 돌아가나? (42)
    • 【블록체인】비트코인 투자 (0)
    • 【특징주】 일일 특징주 (54)
    • 【국내주식】국내장 마감 시황 현황 (19)
    • 【섹터분석】관련 테마섹터 (4)
    • 【경제뉴스】 일일이슈 (52)
    • 【증권사의견】종목별 의견 (39)
    • 【상승률TOP】일일상승률TOP (49)
    • 【美_증시체크】미국 시황 현황 (2)
    • 【섹터전망】 업종 섹터 진단 및 전망 (0)
    • 【파생상품】해외선물 투자 (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증시전망

  • 개인투자자의 유동성 해석

    2021.01.11 by 개미날다TV

  • 2021년도 월별 거시지표 (수출입동향과 KOSPI상관관계)

    2021.01.11 by 개미날다TV

  • 미증시의 추가 부양책 합의 기대? 증시 상승의 모멘텀이죠.

    2020.12.18 by 개미날다TV

  • ▶ 국내증시 단기수급 및 방향성에 대한 고찰

    2020.11.25 by 개미날다TV

  • 【미대선_바이든분석】 바이든 그는 어떤 영향을 미칠것인가?

    2020.11.08 by 개미날다TV

  • 【미 대선 수혜분석】 트럼프 재선하면 주가는 더오른다!???? 5G섹터 주목

    2020.11.04 by 개미날다TV

  • 【미 대선 분석】미 대선직후, 국내증시 영향과 전망은?

    2020.11.03 by 개미날다TV

  • 【시황전망】미국 코로나, 대선과 증시변동성

    2020.10.31 by 개미날다TV

개인투자자의 유동성 해석

개인투자자의 투자자금은 지속적으로 유입중입니다. 이제 시작이라고 판단합니다. M2는 늘어나고, 소비처는 제한적이고(예컨대 해외여행 불가능), 투자처 또한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리스크는 상대적입니다. 당분간 코로나보다 큰 리스크요인을 찾긴 어렵습니다. 증시는 코로나에 이미 적응한 상태입니다. 미국발 유동성은 리스크에 둔감한 상태에서 ‘SMART한’ 투자처(고수익)를 찾아 자연스럽게 이동할 것입니다. 이런 가정을 바탕으로 주요 IB들이 상대적으로 기대수익률이 높은 이머징을 투자처로 지속 추천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국내증시에도 본격적인 외국인 투자자금 유입을 예상합니다. 정부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주식을 막자니 부동산에서 겨우 돌려놓은 돈길이 다시 부동산으로 향할 가능성이 우려됩니다. 또한 정부의 핵심 정..

【시황분석】 장이 어떻게 돌아가나? 2021. 1. 11. 22:49

2021년도 월별 거시지표 (수출입동향과 KOSPI상관관계)

【’21년 1월 월별 수출입 동향과 KOSPI 】 2020년 12월 수출 실적이 개인적으로는 상당한 서프라이즈였기 때문에 2021년 1월 무역 실적이 상당히 궁금했습니다. 월요일이 되자마자 1월 10일까지의 관세청 잠정 실적을 찾아보았습니다. 1월 수출금액까지 추정하였으니 이제는 과연 실물경제와 국내 증시는 어느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지도 분석해보았습니다. 실물경제는 월별 수출과 수입총계의 합에 해당 월의 평균 환율을 곱한 후 이를 연환산한 값을 이용하였으며, 시가총액은 한국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월별 코스피와 코스닥 시가총액을 합산하였습니다. 시가총액을 수출입합으로 나누어 실물 경제의 규모 대비 시가총액의 비율은 얼마나 되는지를 산출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0..

【국내주식】국내장 마감 시황 현황 2021. 1. 11. 22:44

미증시의 추가 부양책 합의 기대? 증시 상승의 모멘텀이죠.

12/18 미 증시, 추가 부양책 합의 기대 속 종목 장세였습니다. 미 증시는 추가 부양책 합의 임박 소식과 모더나(+5.09%) 긴급 사용 승인 허가 기대 소식으로 상승 출발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경제지표가 둔화되고 대형 기술주 및 일부 반도체 업종 등이 매물 출회되자 상승폭이 축소되기도 했습니다. 특히 선물옵션 만기일을 하루 앞두고 변화가 제한된 가운데 개별 종목 이슈에 따라 변화한 종목 장세를 보이며 상승폭이 재차 확대된 점이 특징입니다.(다우 +0.49%, 나스닥 +0.84%, S&P500 +0.58%, 러셀 2000 +1.30%) 미 증시는 추가 부양책, 경제지표, 개별 종목 이슈에 따라 변화하고 있습니다. 시장은 연방 정부 셧다운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추가 부양책과 예산안의 이번 주 통과를 기..

【시황분석】 장이 어떻게 돌아가나? 2020. 12. 18. 23:04

▶ 국내증시 단기수급 및 방향성에 대한 고찰

▶ 국내증시 단기수급 및 방향성에 대한 고찰... 오늘 오랜만에 시장하락이 눈에 띕니다. 신고가 이후 쭉 뽑는 아름다운 모습을 기대했지만, 연기금(대부분 국민연금)은 그런 모습을 원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일단 연기금(대부분 국민연금)은 어제/오늘 양일간 코스피 4,700억, 코스닥 560억을 순매도 하였습니다. 전일 금융투자의 2,400억 순매도에 일부는 관련 ETF 환매로 인한 매도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대략 2일간 연기금(대부분 국민연금)은 약5,300억+@의 국내주식을 순매도한 것으로 추정해봅니다. 연기금은 최근 국내외 주가 상승으로 연말까지 국내주식/해외주식 편입비를 줄여야하는 상태로 추정됩니다. 관련한 매도가 연말까지 계속 나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11/30일 종가에는 MSCI 리밸런싱이 예정..

【섹터분석】관련 테마섹터 2020. 11. 25. 21:10

【미대선_바이든분석】 바이든 그는 어떤 영향을 미칠것인가?

【미대선_바이든분석】 바이든 그는 어떤 영향을 미칠것인가? 미대선의 결과가 발표되었죠. "조 바이든" 입니다. 미증시의 경우, 신고가를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의 유동성은 크게 나아지지는 않을 겁니다. #코로나19확진세의 가속화와 함께,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고용회복의 경제 지표때문이죠.# 우선 #조바이든의 당선인 확정으로 인하여, 수혜를 받을 부분과 정책부분 짚어보겠습니다. 1) 신재생 섹터 : Very good 2) 헬스케어 섹터 : Very good 3) 증시 : 단기 good / 중장기 bad 4) 코로나 이슈로 단기 세율인상은 어려울 것이나 회복시 본격 인상 추진 5) 증세+복지 공약은 선거를 위한 것으로, 승리후 모두 이행안할 가능성 있음 6) 주식양도세 : 인상 7) 소득세 : 인..

【시황분석】 장이 어떻게 돌아가나? 2020. 11. 8. 23:15

【미 대선 수혜분석】 트럼프 재선하면 주가는 더오른다!???? 5G섹터 주목

【미 대선 수혜분석】 트럼프 재선하면 주가는 더오른다!???? ▶ 트럼프 재선하면 주가는 더오른다!?? 오늘 국내외 증시의 경우, 미 대선관련 바이든 당선을 기대하고 장이 올랐다면, 트럼프가 되면 더올라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기본적으로 트럼프가 당선되면 바이든보다 증시에는 훨씬더 우호적입니다. 기존 발언들을 살펴보면 바이든후보는 명백하게 주주보다 근로자를 위한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주장해왔습니다. 바이든 후보가 당선되면 신재생 에너지섹터는 큰 전기를 마련하게 됩니다. 그러나 코로나이슈가 해소되는 일정시점에서 법인세율 인상과 배당/자사주매입 제한 등의 주주가치 훼손 가능성이 예상됩니다. 다시한번 현재 주요 두 후보간의 정책 차이를 짚어보겠습니다. 1) 경기 부양책(현금지급) 2nd - 트럼..

【시황분석】 장이 어떻게 돌아가나? 2020. 11. 4. 22:38

【미 대선 분석】미 대선직후, 국내증시 영향과 전망은?

【미 대선 분석】미 대선직후, 국내증시 영향과 전망은?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시장유동성 공급은 향후 2년동안은 지속될 확률이 높다고 봅니다. 그 이유로, 미국 대통령선거전, 코로나19 사태 해결을 위한 정치권에서의 경기부양안 합의를 하기로 결정한 상태이기 때문이죠. 당연히 정치권과 트럼프든, 조 바이든이든 새로운 대통령의 관심사는 시장은 빠르게 부양책에 집중하는 것이 제 1순위입니다. 누가이기든 설사 누군가 불복하더라도 부양책만 정상적으로 빠르게 추진되면 시장 변동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은 최저수준이죠. 지속적으로 미 대선이후로 그 시기를 질질 끌며, 결국은 하겠지만, 그 시기 문제로 갑론을박 지연되었던 상황입니다. 실제로는 2021년도 1월 21일 ..

【시황분석】 장이 어떻게 돌아가나? 2020. 11. 3. 20:41

【시황전망】미국 코로나, 대선과 증시변동성

【미국 코로나, 대선과 증시 변동성 전망】 금요일 기준 미국의 신규확진자수가 10만명을 넘었습니다. 다행스럽게 일반적으로 토요일과 일요일 숫자가 많이 떨어집니다. 월요일 시장은 일 6~7만명 정도의 신규확진자수를 보고 장을 시작할 가능성이 매우 높죠.(테스트수 감소영향) 미국 중부지역 주요 주들은 대부분 가벼운 제한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보통 식당내 식사금지, 심야영업 금지, 대규모 이벤트 금지, 비대면수업 등입니다. 사실 이런 소규모 제한들이 미국사회에서 어느정도 워킹하는 것은 7월 남부 선벨트 주들에서 확인된바 있습니다. 특히 지금 미국 중북부 주들(일리노이, 위스콘신, 오하이오, 미시건 등)중심으로 확진자수가 급등하는 것은 동 지역 기온이 0도 수준까지 떨어지면서 부쩍 실내 활동이 늘었기 때문입니..

【시황분석】 장이 어떻게 돌아가나? 2020. 10. 31. 19:4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_개미날다TV_투자정보
푸터 로고 © Magazine Lab_개미날다TV_투자정보채널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